Loading...
스포츠 과학의 미래를 선도합니다
스포츠 응용과학과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한
학제간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의 허브
Scroll Down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소장 임영태
논문자료
연구과제
연구원
설립연도
스포츠 융복합 연구의 선두주자
스포츠 응용과학 분야 및 관련 기술 연구 인프라 구축을 통한 연구 경쟁력 제고 및 산학협력사업 활성화
학내 학문 간의 소통과 협력을 통한 스포츠산업기술 융합 분야 신 영역 구축 및 선점
스포츠과학 지원 및 기술 개발을 통한 지역사회 및 국민 건강에 이바지함은 물론 전문 인력 양성
6개의 핵심 연구 분야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선수 기술 분석 연구
R&D 기반 스포츠 장비 개발 연구
하지 관절 상해 메카니즘 및 예방 기전 연구
고령자 및 장애인 운동기능 및 자세균형 연구
운동능력 평가를 위한 근수축 분석 연구
근골격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
스포츠 과학 전문가들
건국대학교 교수
운동역학 / 골프역학
University of Illinois Ph.D.
건국대학교 교수
분자세포생물학 / 신경과학
University of Tokyo Ph.D.
연구 분야: 퇴행성 뇌질환 원인 규명, 기억력증진 및 뇌질환개선 식약소재 개발, 기억력개선 기전연구, 신약개발
논문 실적: Journal of Neuroscience, PNAS, Nature, Scientific Reports 등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70여편 발표
수상: BRIC 한빛사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등재 5회 (2013, 2015, 2019)
특허 실적: 퇴행성신경변성질환 진단용 마커, 신경염증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 식품소재, 피부미백용조성물 등 50여건 출원/등록
건국대학교 교수
체육측정평가
건국대학교 이학박사
건국대학교 부교수
운동역학
성균관대학교 이학박사
건국대학교 부교수
운동생리학
건국대학교 의학박사
건국대학교 조교수
스포츠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 박사
체계적인 조직 구조
Since 2016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설립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심포지엄
Texas Woman's University 권영후 교수 초청 세미나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심포지엄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심포지엄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규정 전문
이 연구소는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라 칭한다.
당 연구소는 건국대학교 내에 설치한다.
연구소는 스포츠 분야의 과학화, 스포츠관련 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학제간 공동연구 및 산학협동의 활성화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 응용과학 및 기술 분야의 수준을 격상 시키고 관련 산업의 기술적 지원을 통해 국가기술경쟁력 강화 및 고급인력 양성에 이바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소는 제3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연구소에는 연구 분야별로 약간의 부서를 둘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세부 사항은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장이 별도로 정한다.
연구소는 다음과 같이 임원을 둔다.
소원은 상임연구원, 객원연구원, 선임연구원, Post-Doc, 석·박사과정 대학원생, 연구보조원 및 행정보조원 등으로 구성한다.
연구소의 기본계획수립, 연구방향 설정, 주요 사업과제 심의, 예산 결산 및 기타 중요한 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를 둔다.
연구소는 연구 및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약간 명의 고문을 둘 수 있으며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장이 위촉한다.
연구소장은 다음 사항을 산학연구처장을 거쳐 총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논문, 과제, 발표 자료
골퍼들의 퍼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애인 노르딕스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지원
대한장애인노르딕스키연맹
가상현실과 실제 야구를 결합한 차세대 스포츠 시뮬레이터
문화체육관광부
Comparison of Postural Sway between Elite and Novice Golfers during a Putting Motion
Comparison of Kinematic Variable of Putter Head using 4-way Putting Platform in Elite Golfers
Effects of Skill and Distance Factors on Center of Pressure Variables during Golf putting
Effect of Dynamic Balance Control between Golfer and Non-golfer using Tilting Platform
Analysis of Somatosensory Ability on the Passive Slope Angle in Golfer and Non-golfer
Effects of Gender and Foot Position and Acceleration Pattern of Knee and Hip Joint during Deep Squat
Comparison of Proprioception Perception Test between Golfer and Non-golfer using Tilting Platform
Human Proprioception Perception Test using Tilting Platform
KLPGA 투어프로들의 드라이버 스윙 시 Kinematic Sequence 특성 분석
숙련자 및 비숙련자 대상 골프 아이언 샷과 스내그 런처 샷의 근활성도 및 운동학적 변인 비교 분석
성별에 따른 딥 스쿼트 동작 시 하퇴 키네시오 테이핑 위치가 하지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골프 스윙 시 아이언과 드라이버 간의 족저압 비교 분석